🔧 언리얼이 실행조차 안 된다면?
에디터 로딩 중 멈추거나, 시작하자마자 꺼지는 경우는 종종 Config/*.ini
파일에 잘못된 설정이 들어가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 언리얼에서 ini 파일이란?
언리얼 프로젝트는 다음 경로에 있는 여러 .ini
파일을 통해 각종 설정을 불러옵니다:
주요 파일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ini 파일명 | 역할 |
---|---|
DefaultEngine.ini | 렌더링, 그래픽, 플러그인, RHI 등 핵심 설정 |
DefaultGame.ini | 게임 로직 관련 기본 설정 |
DefaultInput.ini | 키 입력 바인딩 |
DefaultEditor.ini | 에디터 UI 및 도구 설정 |
DefaultEditorPerProjectUserSettings.ini | 사용자별 에디터 환경 저장 |
🛠 자주 문제를 일으키는 설정들 (실제 사례)
✅ DefaultEngine.ini
✔️ 경로:
/Config/DefaultEngine.ini
이 파일에서 그래픽 설정이나 외부 플러그인 설정이 잘못되어 있으면 실행이 안 됩니다.
예시 1: DX12 강제로 설정했지만 GPU가 미지원일 경우
👉 해결: DefaultGraphicsRHI_DX11
으로 바꾸기
예시 2: 사용하지 않는 플러그인을 강제로 활성화할 경우
👉 해결: 플러그인 비활성화 또는 삭제
✅ DefaultEditor.ini
✔️ 경로:
/Config/DefaultEditor.ini
에디터 뷰 설정이나 레벨 브라우저 관련한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경우에 따라 잘못된 뷰포트 설정이 충돌을 일으킬 수 있음.
예시:
👉 해결: 해당 섹션 삭제 또는 초기화
🧼 가장 확실한 해결법: ini 초기화
에디터가 실행되지 않을 때 가장 빠른 해결법은:
Config/
폴더를 백업 후 삭제하거나 기본값으로 덮어쓰기입니다.
🪄 방법:
-
프로젝트/Config/
폴더를 백업 (혹은 이름 변경) -
언리얼 에디터를 실행 → 자동으로 새 기본
.ini
생성됨 -
에디터 정상 실행 시, 이전 ini에서 필요한 항목만 수동으로 복사
📌 추가 팁: Saved와 Intermediate도 함께 점검
-
Saved/
와Intermediate/
폴더도 임시 설정/캐시 충돌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이 폴더들도 삭제하고 재시작하면 초기화됩니다 (삭제 전 백업 권장)
✅ 마무리 정리
체크 항목 | 설명 |
---|---|
DefaultEngine.ini | RHI 설정, 활성화된 플러그인 문제 |
DefaultEditor.ini | UI 구성 충돌, 뷰포트 설정 문제 |
ini 복구법 | Config/ 폴더 초기화 후 자동 재생성 유도 |
캐시 폴더 삭제 | Saved/ , Intermediate/ 함께 점검 |
0 댓글
이 글에 대한 생각이나 궁금한 점을 남겨주세요. 여러분의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