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Ads Widget

Ticker

6/recent/ticker-posts

GPU Crashed or D3D Device Removed 에러 해결법 (2025 최신)

🧨 시작은 아무렇지도 않은 프로젝트에서였다

언리얼 엔진 5.3로 프로젝트를 작업 중이었고, 평소처럼 메터리얼을 수정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어느 순간 에디터가 '뚝' 하고 꺼지더니,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를 남겼습니다:

                               “GPU Crashed or D3D Device Removed”

처음엔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겠거니 하고 넘어갔지만…
문제는 이 에러가 계속 발생하면서 작업 진행이 불가능해졌다는 것입니다.
결국, 수정 중이던 씬까지 손실되고 낭패를 봤죠.


🧠 이 에러, 도대체 왜 뜨는 걸까?

이 에러는 단순히 GPU 문제만이 아닙니다.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Direct3D 렌더링 에러입니다.

🔍 주요 발생 원인 요약

원인설명
드라이버 충돌NVIDIA/AMD 그래픽 드라이버 문제
언리얼 설정값 이상r.GraphicsAdapter 설정, DX12 강제
GPU 과부하너무 많은 쉐이더 컴파일, 메모리 누수
언리얼 버그특정 버전에서의 DX12 비호환 문제
외부 툴 간섭MSI Afterburner, 오버레이 등

🛠️ 근본적 원인을 이해해야, 제대로 고친다

이 에러 메시지는 DX12 렌더링 환경에서 GPU가 리셋되거나 제거된 것처럼 인식될 때 발생합니다.

즉, 언리얼이 GPU를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고, 보통은 다음 상황일 수 있어요:

  • GPU가 VRAM을 초과해서 과부하에 빠졌거나
  • DirectX와의 통신이 잠시 끊겼거나
  • 오버클럭, 백그라운드 앱이 충돌을 일으켰거나


✅ 최종 해결의 핵심 포인트는 이것입니다!

1. 그래픽 드라이버 최신 상태 유지

  • NVIDIA/AMD 최신 버전으로 업데이트 (또는 문제 발생 시 구버전 롤백도 고려)

2. 프로젝트 세팅에서 DX12 → DX11로 변경

  • DefaultEngine.ini에 아래 항목 추가:

ini
[/Script/WindowsTargetPlatform.WindowsTargetSettings] DefaultGraphicsRHI=DefaultGraphicsRHI_DX11

3. 쉐이더 캐시 삭제 (Saved 폴더 초기화)

  • Project/Saved 폴더 삭제 후 언리얼 재실행 (쉐이더 재컴파일 유도)

4. GPU 오버레이/튜닝 프로그램 OFF

  • MSI Afterburner, RivaTuner, Discord 오버레이 등 꺼두기

5. 에디터 설정 조정

  • r.GraphicsAdapter=0 등으로 외장 GPU 강제 지정
  • r.CreateShadersOnLoad=1 설정으로 컴파일 분산


🔚 정리하며

이 에러는 단순히 그래픽카드 문제가 아니라,
언리얼 + 드라이버 + DirectX 환경 전체가 엮인 복합 문제입니다.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은 DX11로 전환하고,
불안정한 외부 환경 요소를 하나씩 제거해 나가는 것입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이나 공감 부탁드립니다.
더 복잡한 로그 분석이 필요하면 따로 정리해보겠습니다.


댓글 쓰기

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