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der Ads Widget

이야기 구성에 관련된 용어

1. 스토리 구성에 관련된 용어


① 쇼트 (SHOT)

쇼트란 영화 구조상의 문법적 기본단위로 한번의 테이크를 통해 촬영된 장면을 말하는 것으로서, 촬영할 때 끊지 않고 한번에 찍은 필름의 조각을 말한다. 편집의 측면을 살린 커트(CUT)와 보통 혼용한다.

② 테이크 (TAKE)

영화 구조상 기술적인 면에서 카메라의 작동 스위치가 한번 기능하여 어떠한 중단이나 방해없이 촬영된 하나의 연속적인 화면 단위를 말한다. 쇼트와 같은 의미로 하나의 쇼트는 한번의 테이크에 의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면 된다.

③ 커트 (CUT) → 여러가지 의미를 지닌다.

i) 편집 중 잘라낸 특정화면의 단편일 경우 쇼트와 동일 개념으로 쓰인다.
ii) 편집시 불필요한 화면이나 사운드를 제거하는 일을 말한다.
iii) 촬영 중 감독이 제작진에게 연기 동작과 촬영장비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을 말한다.

④ 씬 (SCENE)

같은 시간, 같은 곳에서 하나의 사건이 마무리되는 장면을 씬이라 하며, 우리말의 '장면'에 해당하는 포괄적인 의미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쇼트와 시퀀스의 중간 길이에 해당한다.

대개 서로 관련있는 쇼트가 모여 하나의 씬을 이루지만, 때로는 하나의 쇼트안에 둘 이상의씬이 있을 때도 있다.

⑤ 시퀀스 (SEQUENCE)

장소, 액션, 시간의 연속성을 통해 하나의 에피소드를 이루는, 이야기가 시작되고 끝나는 독립적 구성단위를 말한다. 씬이 때와 장소로 정해진다면 시퀀스는 이야기의 단위로 나누어지는 보다 큰 단락이라고 할 수 있다.

⑥ 이야기 (STORY) / 플롯 (PLOT)

이야기가 시간에 따라 전개된다면 플롯은 사건의 인과 관계에 따라 구성된다.






2. 쇼트 및 카메라 이동에 관한 용어


⊙ 프레임 (FRAME)

프레임은 두 가지 뜻을 가지고 있다. 
첫째, 쇼트를 이루는 필름을 이루는 낱 조각으로 무성 영화는 일 초에 16-18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고, 토키 발명 이후의 영화는 1초에 24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있다. 비디오에서 스틸(STILL) 버튼을 눌렀을 때 나타나는 정지된 화면이 한 프레임에 해당된다. 
둘째, 프레임은 스크린을 이루는 사각형의 경계 틀을 가리키기도 한다.

1) 거리에 따른 쇼트 구분 (롱쇼트, 클로즈쇼트, 클로즈업)

① 롱쇼트 ( LONG SHOT )

카메라와 피사체 간의 거리가 일반적으로 연극에서 관객과 무대사이의 거리로서, 인물의 몸 전체 뿐만 아니라 그 배경도 상당 부분 포착할 수 있기 때문에 미장센에 효과적이다. 

② 익스트림 롱쇼트 ( EXTREME LONG SHOT )

아득히 먼 거리에서 찍은 쇼트를 가리킨다. 더 가까이서 찍은 쇼트를 보여주기 전에 그 대상들의 공간적 관계를 제시하기 때문에 상황설정 쇼트로 많이 이용된다.

③ 클로즈쇼트 ( CLOSE SHOT )

  • 미디엄쇼트 ( MEDIUM SHOT)

인물의 무릎, 또는 허리부터 상반신을 다 보여주는 쇼트이다. 인물의 움직임을 잡거나, 롱쇼트와 클로즈업 사이의 이동을 이어준다. 미국식 화면(american shot)이란 말이 있다. 이것은 인물의 정강이로부터 머리끝까지 잡은 미디엄쇼트에 프랑스 비평가가 붙인 이름이다. 특히 하워드 호크스의 영화에서는 이 미국식 화면에 주의하기 바란다.

  • 풀쇼트 ( FULL SHOT )

쇼트 가운데 특히 서있는 사람의 전신을 스크린 높이에 꽉차게 찍은 쇼트. 이 쇼트는 찰리 채플린이 인물의 판토마임 동작을 효과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많이 사용되었다.

  • 바스트쇼트 ( BARST SHOT ) - 가슴 위

  • 웨이스트쇼트 ( WAIST SHOT ) - 허리 위

  • 이탈리안쇼트 ( ITALIAN SHOT ) - 무릎 위


④ 클로즈업 ( CLOSE UP )


비교적 작은 물체를 화면 가득히 채운 쇼트이다. 롱쇼트에 비해 화면 속의 인물과의 감정 동화가 쉽다. 보통 어느 사물의 중요성을 나타낼 때 쓴다.
(zomm-in)에 의해 클로즈업 된다.

⑤ 전경 ( FOREGROUND ) / 원경 ( BACKGROUND )


영화를 찍을 때 카메라에 가까운 곳이 전경, 먼곳이 원경이다.
<별들의 고향>에서는 마지막에 배에 앉아서 경아의 유골가루를 뿌리는 것이 전경이고 그
뒤의 눈덮힌 산이 원경이다.

⑥ 초점이동 ( SHIFTING THE FOCUS )


같은 쇼트 안에서 하나의 초점이 피사체로부터 다른 피사체로 옮겨지는 경우로, 랙포커스(rack focus)도 같은 뜻이다. <별들의 고향>에서는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전경의 꽃에 초점을 맞춘 후 뒤쪽의 경아가 일하는 모습으로 포커스가 이동한다.

⑦ 화면심도 ( DEPTH OF FIELD )


화면의 심도란 초점이 맞는 범위를 말하는데, 어떤 렌즈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화면의 심도가 달라진다. 
망원렌즈(telephoto lens)를 사용하면 화면의 심도가 낮아지므로 전경에 맞추면 원경은 흐려진다. 화면은 평평하게 느껴지고 따라서 피사체가 화면에 가까이 와도 거리의 변화는 느껴지지 않는다. 전경의 피사체는 또렷이 나오고 배경은 흐리게 나오므로, 관객은 피사체의 감정의 흐름에만 집중하게 된다. 광각렌즈(wide-angle lens)는 화면의 심도가 높아지므로 전경과 원경에 모두 넓게 초점이 맞추어진다.

⑧ 깊은 초점 ( DEEP FOCUS )


카메라가 아주 먼 곳까지 모두 초점이 잘 맞도록 찍은 것이다. 오손웰즈의 <시민케인>은 딮포커스의 대명사라고 할 수 있다.


2) 내용에 따른 쇼트 분류

① 상황설정 쇼트 ( ESTABLISHING SHOT )

하나의 씬이 시작될 때 롱쇼트로 대상을 잡아 인물, 물체, 세팅 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쇼트로, 매스터쇼트(master shot)라고도 한다. 시퀀스의 시작 부분에서 향후에 진행될 이야기를 위해 장소나 무대, 또는 극적인 분위기를 예시해 주는 화면으로 '언제 어느 곳에' 라던가 '한편...'등의 문학적 표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관객으로 하여금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향후의 구체적인 묘사를 혼란없이 받아들이게 하는 기능을 지닌다.

② 재상황 쇼트 ( REESTABLISHING SHOT )

보통 시퀀스의 첫부분이나 끝부분과 같은 영화의 중간중간에, 앞에서 주위상황을 알려주었던 설정화면을 다른 각도로 재차 보여줄 때를 가리킨다. 시간의 경과나 상황의 전환 따위를 관객에게 환기시켜 혼란을 느끼지 않도록 기능한다.

③ 시점쇼트 ( POINT OF VIEW SHOT, SUBJECTIVE SHOT )

등장인물의 눈을 통해서 본 장면을 찍은 것으로 줄여서 POV쇼트라 부르기도 한다.

④ 쇼트 ( SHOT ) / 역쇼트 ( REVERSE SHOT )

두 사람이 얘기를 주고 받을 때 편집에 의해 번갈아가며 두 인물을 보여줄 때, 앞 쇼트에 대응되는 쇼트가 역쇼트이다.

⑤ 삽입쇼트 ( INSERT SHOT )

한 씬의 의미를 완전히 전달키 위해, 관련된 디테일 쇼트나 비유적 쇼트가 삽입되는 것을 말한다.

⑥ 스토크 쇼트 ( STOCK SHOT )

다른 목적으로 이미 찍어놓은 필름을 빌어서 쓰는 것을 말한다. 라이브러리 쇼트(liblary shot)라고도 한다. <레테의 연가>, <거리의 악사>에서와 같이 김포공항을 떠나는 비행기를 찍은 쇼트는 대부분 스토크 쇼트이다.




3) 형태에 따른 쇼트 구분

① 매스킹 쇼트 ( MASKING SHOT )

프레임의 일부를 어둡게 가린 화면 구성을 말한다. 요즘은 화면에 아주 가깝게 물체를 놓아 자연스럽게 표현한다. <별들의 고향>에서 동혁의 모습을 본 경아가 아파트에서 서성거리는 동혁의 모습을 살피는 장면은 아파트의 구조물이 프레임의 반 이상을 가리고 있어서 실제로는 클로즈업의 효과를 낸다.

② 아이리스 쇼트 ( IRIS SHOT )

원형으로 이루어진 매스킹 쇼트를 생각하면 된다. 외눈 망원경으로 집안을 훔쳐볼 때 많이
쓰인다.

③ 프리즈 프레임 ( FREEZE FRAME )

흔히 스톱모션이라 한다. <내일을 향해 쏴라>는 프리즈 프레임으로 끝난다.


4) 앵글에 따른 쇼트 구분.

① 부감 ( HIGHT ANGLE, BIRD'S-EYE VIEW )

카메라가 피사체를 내려다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이다. 피사체가 사람일 때는 그 인물의 연약함, 초라함을 나타내서 동정심을 유발시킨다.


② 양각 ( LOW-ANGLE )

피사체의 아래쪽에서 위로 향해 촬영한다. 피사체의 권위를 강조하고 관객의 압도하는 느낌을 주며, 주위환경을 왜소하게 느끼게 한다.

③ 경사앵글 ( 사각앵글, OBLIQUE-ANGLE )

카메라를 기울여서 찍은 쇼트. 마치 한쪽으로 쓰러질 듯 하면서 긴장과 위기감을 조성한다.

④ 아이레벨 쇼트 ( EYE-LEVEL SHOT )

실제 관찰자가 어떤 장면을 볼때와 거의 같은 눈높이에서 촬영. 대상에 대한 가장 명확한 시야를 제공한다.



5) 쇼트의 길이

① 롱테이크 ( LONG TAKE )

일반적인 경우보다 훨씬 오랫동안 한 쇼트를 끌어가는 것을 뜻한다. 배창호 감독의 <황진이>, <기쁜 우리 젊은 날>에서는 의도적인 롱테이크가 두드러진다.




6) 카메라 움직임에 관련된 용어들 (팬, 틸트, 트레블링)

① 고정된 카메라 ( FIXED CAMERA )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시킨 채로 찍은 것.

② 줌 인 ( ZOOM-IN ) / 줌 아웃 ( ZOOM-OUT )

줌 렌즈는 망원렌즈와 광각렌즈 특성을 모두 살렸기 때문에 초점거리를 마음대로 바꿀 수있고 카메라를 고정시킨 채로 피사체에 다가가거나 멀어질 수 있다.

③ 팬 ( PAN )

카메라 전체는 움직이지 않고 단지 몸체만 돌리면서 촬영한다. 

프레임이 좌우로 수평이동하며 같은 시각 같은 공간의 대상을 보여준다.
<별들의 고향>에서는 경아가 만준의 집에 처음 들어갔을때, 
먼저 카메라는 벽에 걸린 죽은 전부인의 초상화를 비추고, 팬하여 그림을 보고 있는 경아의 모습을 보여준다.

  • 스위시 팬 ( SWISH PAN ) 집 팬 (zip pan), 플래시 팬 (flash pan) 이라고도 하며 화면의 대상을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른 팬을 말한다.
  • 360도 팬 - 카메라를 한 방향으로 360도 회전하면서 찍는 것을 말한다. <이지라이더>에서 볼 수 있다.


④ 틸트 ( TILT )

카메라가 움직이지 않는 것은 팬과 같으나 수평축을 중심으로 몸체가 위아래로 움직이는 것이 다르다. 즉, 양각과 부감의 혼합이다. 배우의 옷차림을 위아래로 훑어볼 때 쓸 수 있다.

⑤ 트레블링 쇼트 ( TRAVELLING SHOT )

카메라를 달리 붐 (dooly boom:움직이는 일종의 이동차) 이나 크레인 (crane) 위에 장치하여 여러가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이다.

  • 트래킹 ( TRACKING ) = 달리쇼트  줌 촬영과는 다르게 트래킹은 카메라 자체가 피사체에 다가가거나 물러나며 찍는 기법으로 카메라의 흔들림을 막기 위해서 레일을 깔고 그 위를 이동한다.  줌 촬영은 각도와 거리가 달라지지 않으므로 원근의 변화는 없지만 트래킹은 직접적인 움직임이 있으므로 거리가 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줌 촬영은 그림의 크기가 달라지는 느낌, 곧 피사체가 다가오거나 멀어지는 느낌을 주지만 트래킹은 관객이 피사체에 다가가거나 멀어지는 느낌을 준다.
  • 수평트래킹 ( PARALLEL TRACKING ) - 레일을 가로로 깔고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촬영하는 것. 앞뒤를 가로지르는 수직이동이 아니고 좌우로만 카메라가 움직이는 카메라 이동.

  •  360도 트래킹 - 멈춰있는 피사체를 중심으로 동그란 트랙을 깔고 카메라를 움직이면서 찍는 것.

⑥ 크레인 쇼트 ( CRANE SHOT )

크레인 위에 카메라를 얹어 놓아 공중에서도 자유롭게 원하는 곳으로 유연하게 움직이며 찍는 쇼트를 말한다. 공중에서의 달리쇼트라 생각하면 되겠다.

⑦ 추적쇼트 ( FOLLOWING SHOT )

움직이는 피사체를 프레임 안에 항상 넣어두기 위해서 피사체를 따라 카메라가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⑧ 핸드헬드 쇼트 ( HAND HELD SHOT )

비교적 가벼운 카메라를 어깨에 메고 카메라맨이 움직이며 찍는 쇼트를 말한다.

⑨ 줌인 트랙아웃 ( ZOOM-IN TRACK-OUT )

히치콕의 영화 <현기증>에서 처음 썼다고 하는 기법. 줌은 피사체에 접근시키고 카메라 자체는 뒤로 빠지는 기법을 결합하여, 정지해 있는 피사체이지만 화면을 통해 나타날 때에는 전경과 원경이 변화하는 느낌을 준다.
토비 후퍼의 <폴터가이스트>에서는 줌인 트랙아웃을 이용하여 여자가 복도를 뛰어가는 데도 전혀 나아가지 않는 것같은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7) 쇼트와 쇼트의 연결. ☞ 영화적 표현을 만들어 내는 방법.

① 매치커트 ( MATCH CUT )

쇼트와 쇼트를 연결할때 시각적, 청각적 유사성을 이용하여 전체의 통일성을 주는 방법을 말한다. 같은 인물의 같은 행동을 예로 들 수 있겠다.
<시네마천국>에서는 영화검열을 하는 신부의 종 흔듬과 다음에 보여지는 교회종이 울리는 쇼트를 연결해서 매치커트를 잘 활용하고 있다.

# 컷어웨이 ( CUT AWAY ) - 연결된 쇼트가 앞 쇼트의 대상과는 다른 대상을 잡았을 때 연결하는 방법이다.
# 컷백 ( CUT BACK ) - 어웨이된 쇼트에서 다시 처음 쇼트로 되돌아 갔을 때를 말한다.

② 점프커트 ( ZUMP CUT )

같은 씬 사이에 의도적으로 시간과 공간의 흐름을 끊는 편집 방식이다.

③ 페이드 인 ( FADE IN, F.I ) / 페이드 아웃 ( FADE OUT, F.O )

씬과 씬, 시퀀스와 시퀀스를 연결할 때 쓰는 방법으로 시간의 오랜 흐름을 보일 때가 많다. 화면의 밝아짐과 어두워짐을 말한다.

④ 디졸브 ( DISSOLVE )

흔히 오버랩(over lap)이라고도 한다. 페이드 아웃하는 앞 쇼트 위에 페이드 인하는 뒷 쇼트를 이중인화하면 앞 쇼트는 점차 사라지게 되고 뒷 쇼트는 점차 나타나게 된다. 즉, 화면이 겹치면서 연결되는 것으로 가장 흔하게 보인다.

⑤ 와이프 ( WIPE )

50년대 많이 사용되던 수법으로 쇼트 위로 경계선이 지나가면서 다음 쇼트가 나타나는 기법을 말한다. 즉, 지우개로 지우듯이 화면이 바뀌는 것이다. <블루스틸>에서는 푸른색과 붉은색의 와이프를 사용하여 다음에 연결될 씬의 성격을 암시한다.

⑥ 아이리스 인 ( IRIS-IN ) / 아이리스 아웃 ( IRIS-OUT )


동그란 원이 커지거나 작아지면서 장면의 전환을 꾀하는 기법을 말한다. 흔히 007영화의 처음 부분의 시그날처럼 카메라 셔터의 움직임을 이용하기도 한다.



8) 씬과 씬, 시퀀스와 시퀀스의 연결.

① 교차편집 ( CROSS-CUTTING )

깊은 관련이 있는 두 사건이 같은 시간에 다른 두 곳에서 일어날 때, 이 두 사건을 번갈아 보여주는 방법을 말한다. <대부>에서는 마지막 시퀀스에서 영세식장의 대부의 모습과 살인의 쇼트가 교차편집되면서 패밀리 조직의 양면성을 강조한다. 히치콕은 <새>에서 교차 클로우즈업 편집을 시도하여 여자의 놀람을 강하게 관객에게 인식시킨다.

② 플래시 백 ( FLASH BACK )

자연스러운 시간의 흐름을 무시한 채 현재에서 과거로 시제를 거슬러 올라가는 것을 말한다. 예전엔 디졸브가 많이 쓰였지만 현재는 스트레이트 커트가 많이 쓰인다. 대부분의 회상장면이 플래시 백으로 되어 있다.

③ 플래시 포워드 ( FLASH FORWARD )

현재 속에 미래 시제가 등장하는 경우를 말한다.



9) 기타

  • 미장센 ( MISE-EN-SCENE )
카메라 앞에 놓이는 모든 요소들, 또는 요소의 결정 및 화면 구성의 행위 모두를 일컫는다. 
의상, 조명, 세트, 인물 움직임 등과 같은 프레임 안의 모든 요소를 말한다.

  • 고속촬영 ( SLOW MOTION ) / 저속촬영 ( FAST MOTION )
고속촬영을 한 뒤 보통 속도로 상영하면 슬로우 모션이 되고 저속촬영 후 보통 상영을 하면 패스트 모션이 된다.

  • 사운드 오버 ( SOUND OVER )
화면 속에서는 직접 들을 수 없는 효과 음악이나 주제가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댓글 쓰기

0 댓글